튀코 브라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코 브라헤는 1546년 덴마크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난 천문학자이다. 그는 정확한 천문 관측을 위해 노력했으며,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는 한계까지 천체의 위치를 측정했다. 브라헤는 1572년 초신성을 발견하고, 1577년 혜성을 관측하여 당시 지배적이었던 천동설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달이 공전하고, 태양을 다른 행성들이 공전하는 절충적인 우주 모델을 제시하기도 했다. 브라헤의 관측 자료는 제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행성 운동 법칙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토대가 되었으며, 그의 업적은 과학 혁명에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신성 발견자 - 막스 볼프
막스 볼프는 천체사진술로 다수의 소행성, 혜성, 초신성을 발견하고 적색왜성 볼프 359를 발견했으며, 하이델베르크 천문대장으로서 천문대 발전에 기여하고 플라네타리움 제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 독일의 천문학자이다.
튀코 브라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튀게 오테순 브라헤 |
출생 | 1546년 12월 14일 |
출생지 | 크누츠토르프 성, 스카니아, 덴마크-노르웨이 |
사망 | 1601년 10월 24일 |
사망지 | 프라하, 보헤미아 왕국, 신성 로마 제국 |
국적 | 덴마크 |
배우자 | 키르스텐 바르바라 예르겐스다테르 |
자녀 | 8명 |
부모 | 오테 브라헤, 베아테 클라우스다테르 빌레 |
![]() | |
학력 | |
모교 | 코펜하겐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 |
직업 | |
직업 | 천문학자 작가 |
분야 | 관측 천문학 점성술 화학(연금술) 의학 |
소속 | 덴마크 우라니보르 천문대 스티에르네보르 천문대 프라하 황궁 왕실 수학자 |
업적 | |
주요 업적 | 튀코 체계 티코 체계(티코식 우주 체계) 루돌프 표 변차 |
영향 | 요하네스 케플러 |
기타 | |
종교 | 루터교 |
2. 생애
튀코 브라헤는 덴마크의 유력 귀족 가문 출신으로, 브라헤 가문과 빌레 가문 외에도 루드, 트롤레, 울프스탄, 로젠크란츠 가문과 연관되어 있었다. 그의 조부와 증조부는 모두 덴마크 왕의 추밀원 의원이었다. 아버지 쪽 조부 튀에 브라헤는 토스테루프 성의 성주였으며, 1523년 말뫼 포위전에서 사망했다. 어머니 쪽 조부 클라우스 빌레는 보후스 요새의 성주였고, 구스타브 1세 바사의 사촌으로, 스톡홀름의 피바다에 참여했다. 아버지 오테 브라헤는 왕실 추밀원 의원이었고, 어머니 베아테 클라우스다테르 빌레 또한 유력 인사였다. 튀코의 부모는 모두 코게뢰드 교회에 묻혔다.[97][98]
2. 1. 어린 시절과 교육
튀코 브라헤는 1546년 덴마크 귀족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튀게 오테센 브라헤(Tyge Ottesen Brahe)였다. 자식이 없던 큰아버지 예르겐 튀게센 브라헤(Jørgen Thygesen Brahe)에게 양자로 보내졌고, 큰아버지는 튀코에게 자신의 지위를 물려주려 했다. 튀코는 6세 때부터 라틴 학교에서 뛰어난 교육을 받았고, 13세에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하여 법학을 전공했다. 하지만 1560년 8월 21일의 개기일식을 계기로 천문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84]
튀코는 천문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정확한 관측이 필수적임을 깨달았다.[87] 그는 여러 천문 관측 장비와 프톨레마이오스의 라틴어 서적을 구입하여 독자적인 천문학 연구를 시작했다. 별들의 위치를 관측하며 자신만의 천문 관측표를 만들기 시작했고,[88][89] 1564년에는 직각기[90]의 부정확함을 인지하고 장비 수정표[91]를 만들기도 했다.[92]
큰아버지의 뜻에 따라 법학 공부를 계속했지만, 천문학과 수학 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큰아버지는 튀코를 법학 공부로 되돌리기 위해 안데르스 베델[85][86]이라는 젊은이를 보냈으나 실패했다. 1562년, 튀코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유학하며, 1563년에는 목성과 토성의 근접 대합을 관측하고, 기존 천문표들의 부정확함을 알아차렸다.
1565년, 튀코는 북방 7년 전쟁 중 덴마크로 돌아왔다. 그의 큰아버지 예르겐 브라헤는 전쟁 영웅이었으나 곧 병으로 사망했다. 이후 튀코는 1566년에 비텐베르크 대학교와 로스토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졸업하였다.[94]
2. 2. 튀코의 코
1566년 로스토크[96]에서 공부하던 튀코는 사촌인 덴마크 귀족 만데루프 파르스베르와 칼싸움을 벌여 코의 일부가 잘렸다. 1566년 11월 10일과 27일에 튀코는 어떤 수학 공식이 맞는지 파르스베르와 다투었다. 둘 다 자기 주장을 증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결국 결투로 해결하기로 했다. 나중에 화해했지만, 이 결투로 튀코는 콧등을 잃었다. 이 사건으로 튀코는 약학과 연금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후 죽을 때까지 은과 금으로 된 코 보형물을 착용했다. 보형물을 붙이기 위해 접착용 반죽과 풀을 사용했다.[4]몇몇 연구자들은 튀코가 금, 은 외에 구리 보형물도 가지고 있었고, 1901년 6월 24일 튀코의 무덤이 공개되었을 때 두개골에서 발견된 녹색 흔적이 구리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구리 보형물이 가볍고 편해서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보형물을 썼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2010년 튀코의 묘를 발굴하여 덴마크와 체코 연구원들이 코 뼈 일부를 화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2012년 11월에 튀코의 보형물은 황동이었다고 발표했다.[5] 금과 은으로 만든 보형물은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했다.

2. 3. 가족 관계
튀코 브라헤는 1546년 덴마크 귀족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튀게 오테센 브라헤(Tyge Ottesen Braheda)였다. 자식이 없던 큰아버지 예르겐 튀게센 브라헤(Jørgen Thygesen Braheda)에게 입양되어 자랐다.[83] 1565년 5월, 큰아버지는 물에 빠진 왕을 구하려다 사망했다.[99]튀코에게는 쌍둥이 동생이 있었으나 세례를 받기 전에 사망했고, 두 명의 여자 형제 키르스티네(Kirstine)와 소피아(Sophia)가 있었다. 친아버지 오테 브라헤(Otte Brahe)는 귀족이자 추밀 고문관이었으며,[97] 헬싱보리 성의 영주였다.[98] 친어머니 베아테 빌레는 신학자와 정치가를 배출한 가문 출신이었다. 외삼촌 스틴은 튀코의 천문학 공부를 격려했으며, 덴마크에 유리와 종이 제조 기술을 도입했다.[94]
튀코 브라헤는 덴마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여러 귀족 가문의 상속자였다. 그는 브라헤 가문과 빌레 가문 외에도 루드, 트롤레, 울프스탄, 로젠크란츠 가문을 조상으로 두었다. 그의 외조부와 증조부들은 모두 덴마크 국왕의 추밀원 의원을 역임했다. 그의 부계 조부이자 동명이인인 티게 브라헤는 스코네의 토스테루프 성 영주였으며, 루터교 종교 개혁 전쟁 중 1523년 말뫼 포위전에서 전사했다.
그의 외할아버지 클라우스 빌레는 보후스 요새의 영주였으며,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1세 바사의 사촌이었다. 그는 덴마크 국왕 편에 서서 스웨덴 귀족에 맞서 스톡홀름의 피바다에 참여했다. 튀코의 아버지 오테 브라헤는 (그의 아버지처럼) 왕실 추밀원 의원이었으며, 덴마크 궁정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로 여러 왕실 토지를 소유한 베아테 클라우스다테르 빌레와 결혼했다. 튀코의 부모는 크누트스토르프 성에서 동쪽으로 4km 떨어진 코게뢰드 교회 바닥에 묻혔다.
1573년, 튀코는 평민 출신의 크리스틴(Christin)과 정식 결혼은 아니지만 함께 살기 시작했다.[102] 덴마크 법은 신분 차이를 넘어선 결혼을 인정하여, 귀족 남성과 평민 여성이 3년간 공개적으로 함께 살면 법적으로 결혼한 것으로 간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8명의 자녀가 있었으며, 그 중 6명이 성인이 될 때까지 살아남았다.
2. 4. 성년기
튀코 브라헤는 1546년 덴마크 귀족 가문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본명은 튀게 오테센 브라헤(Tyge Ottesen Braheda)였다. 자식이 없던 큰아버지 예르겐 튀게센 브라헤(Jørgen Thygesen Braheda)에게 입양되어 자랐다.[83] 6세부터 라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고, 13세에 코펜하겐 대학교에 입학했다. 큰아버지는 튀코에게 자신의 지위를 물려주려 했으나, 1560년 8월 21일 개기일식을 보고 천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84]코펜하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천문학과 수학 공부에 쏟았다. 큰아버지는 안데르스 베델[85][86]을 통해 튀코를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튀코는 천문학이 체계적이고 정확한 관측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닫고, 여러 천문 관측 장비들과 프톨레마이우스의 라틴어 서적들을 구입했다.[87] 그는 자신만의 천문학을 발전시키기 시작했고, 별들의 위치를 관측하면서 천문의 별 관측표[88][89]를 만들기 시작했다. 1564년에는 직각기[90]가 부정확한 것을 알고 장비 수정표[91]를 만들기도 했다.[92]
독일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사 간 튀코는 아마추어 천문학 동아리에 가입해 직경 12 미터짜리 육분의를 제작했다.[93] 1565년 5월, 스웨덴과 덴마크 사이의 전쟁으로 인해 백부의 명령에 따라 코펜하겐으로 돌아왔다. 1566년에는 비텐베르크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졸업했다.[94]
튀코는 귀족 가문 출신으로, 누구의 수학 실력이 더 뛰어난가를 두고 결투를 벌여 코가 잘려나가는 사건도 있었다.[95]
2. 5. 죽음
1601년, 튀코는 로젠버그 남작의 만찬회에서 와인을 과음했다. 하지만 예의를 지키기 위해 화장실에 가지 않고 참았다. 만찬이 끝난 후 집에 돌아온 튀코는 소변을 너무 오래 참아 섬망 증세를 보였다. 요하네스 케플러가 남긴 기록에 따르면, 튀코는 죽기 직전 케플러에게 루돌핀 표(Rudolphine Table)[104]를 완성하고, 코페르니쿠스(Copernicus)의 천체 모델 대신 자신의 모델을 사용하라고 당부했다. 케플러는 튀코가 "현인처럼 살다가 바보처럼 죽었다"라고 묘사했다.[105][106]튀코의 시신에서 수은이 검출되어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2012년 11월, 튀코의 무덤 발굴 결과 시신에서 수은을 포함한 어떤 독극물도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튀코 브라헤의 사망 원인이 살해가 아니라 "방광이 터져서 죽었다고 추정한다"라고 결론내렸다.[107] 튀코는 프라하 천문 시계 근처 구시가지 광장에 있는 틴 성모 마리아 교회에 묻혔다.

프라하의 연회에 참석한 후 튀코 브라헤는 갑작스럽게 방광 또는 신장 질환을 앓게 되었다. 그는 11일 후인 1601년 10월 24일 5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케플러의 직접적인 설명에 따르면, 튀코는 예의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연회를 떠나 용변을 보는 것을 거부했다고 한다. 집에 돌아온 후 그는 극심한 고통 속에서 아주 소량의 소변만을 볼 수 있었다. 그가 죽기 전날 밤, 그는 자신이 헛되이 살았다는 인상을 주고 싶지 않다고 자주 외치는 섬망에 시달렸다.
그는 죽기 전에 케플러에게 ''루돌프 표''를 완성하도록 촉구했고, 박식가 요하네스 케플러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행성계가 아닌 튀코 자신의 행성계를 채택하여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고 표현했다. 튀코가 "그는 현명하게 살았고 어리석게 죽었다"는 자신의 묘비명을 썼다고 전해진다. 한 동시대 의사는 그의 죽음을 신장 결석으로 돌렸지만, 1901년에 그의 시신을 발굴한 후 실시된 부검에서는 신장 결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현대 의학적 평가는 그의 죽음이 방광 파열, 전립선 비대증, 급성 전립선염, 또는 전립선암으로 인해 발생하여 요폐, 요실금, 요독증을 유발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본다.
1990년대의 조사에서 튀코가 요로 문제로 사망한 것이 아니라 수은 중독으로 사망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는 고의적으로 독살되었다는 추측이 있었다. 두 명의 주요 용의자는 그의 조수 요하네스 케플러였는데, 그는 튀코의 실험실과 화학 물질에 접근하려는 동기가 있었고, 그의 사촌 에릭 브라헤는 친구에서 적으로 변한 크리스티안 4세의 명령을 받았는데, 튀코가 크리스티안의 어머니와 불륜을 저질렀다는 소문이 돌았기 때문이다.
2010년 2월, 프라하 시 당국은 덴마크 과학자들의 유해 발굴 요청을 승인했고, 2010년 11월 오르후스 대학교의 체코 및 덴마크 과학자 그룹이 분석을 위해 뼈, 머리카락 및 의류 샘플을 수집했다. 옌스 벨레프가 이끄는 과학자들은 튀코의 수염을 다시 한번 분석했다. 팀은 2012년 11월에 살인을 입증할 만큼 충분한 수은이 존재하지 않았고, 치명적인 수준의 독극물도 존재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팀의 결론은 "튀코 브라헤가 살해되었을 가능성은 없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발견은 1901년에 채취한 튀코의 수염 샘플을 검사한 로스토크 대학교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되었다. 수은의 흔적이 발견되었지만, 이는 외부 비늘에서만 존재했다. 따라서 수은 중독이 사망 원인이라는 주장은 기각되었다. 이 연구는 수은 축적이 "튀코의 장기간의 연금술 활동 동안 공기 중의 수은 먼지의 강수"로 인해 발생했을 수 있다고 시사한다.
3. 튀코 브라헤의 관측
튀코 브라헤는 1560년 8월 21일 코펜하겐에서 일어난 일식을 보고 천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천문학자들이 달의 궤도를 기록한 관측표를 통해 일식과 같은 현상을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에 매료되었다. 튀코는 관측표를 더 자세히 연구했지만, 관측표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를 고치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천문을 관측하기로 결심했다.[108]
1576년, 프레데리크 2세는 튀코를 덴마크에 머물게 하기 위해 코펜하겐과 엘시노어 사이 해협에 있는 벤 섬을 튀코에게 증여했다. 튀코는 그해 2월 22일 화성과 달의 합을 관찰한 후, 자신의 천문 관측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다.[108] 1579년에는 벤 섬에 자신의 천문대인 우라니보르를 건설했으며, 이곳은 현재 중요한 과학 시설이 되었다. 튀코는 이 섬에서 별자리를 중심으로 태양, 화성, 목성, 토성 등의 궤도를 관측했지만, 수십 년 동안 큰 발전은 없었다. 그러나 1577년 밝은 혜성을 발견하여 천문학계에 큰 업적을 남겼다.[109]
1588년 튀코를 후원하던 프레데리크 2세가 사망하면서 튀코의 지위는 위태로워졌다. 후계자 크리스티안 4세가 왕위에 오른 후 튀코의 지위는 낮아졌지만, 제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와의 인연을 통해 튀코의 관측 결과는 훗날 케플러에게 모두 넘어가게 되었다.
3. 1. 관측 업적

튀코 브라헤의 천문학에 대한 관심은 1560년 8월 21일, 코펜하겐에서 일어난 일식에서부터 시작되었다. 튀코 브라헤는 천문학자들이 달의 궤도를 적은 관측표를 통해 일식같은 현상을 예상할 수 있다는 사실에 매료되었다. 이후에 튀코는 관측표들에 관하여 더욱 자세히 알아보았지만, 그가 점점 더 천문학에 빠져들수록 관측표들의 오류가 조금씩 더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튀코는 이러한 점을 못마땅해 하였고 그는 오류들을 고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오랜 시간동안 천문을 관측하기로 결심하였다.[108] 그는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아버지의 바람과는 반대로 천문 관측에 힘을 쏟았고, 별점에도 관심을 보였다. 라이프니치 대학을 떠난 후 그는 1570년에 덴마크로 돌아와서 헬싱보리 성에서 관측을 계속 하였다. 이후에 그는 그의 유명한 저서인 《''De Nova Stella''》(새로운 별)를 출판하였다.
1576년, 유명한 천문학자 튀코를 자신이 다스리는 덴마크에 계속 두기 위하여 프레데리크 왕은 코펜하겐과 엘시노어 사이의 해협에 있는 작은 섬 벤(Hven)을 튀코에게 증여하였다. 그 해 2월 22일 튀코는 화성과 달의 합을 관찰하고, 그 이후 튀코는 자신의 천문관측을 마음껏 할 수 있었다.[108] 1579년에는 벤 섬에 위치한 자신의 천문대를 ''우라니보르그''라고 지었으며, 현재 이 천문대는 중요한 과학시설이 되었다. 그 섬에서 튀코는 별자리들을 중심으로 태양, 화성, 목성, 토성 등의 궤도를 관측하였지만, 수십년이 지나도 그의 관측에는 별다른 발전은 없어 보였다. 하지만, 1577년 그가 밝은 혜성을 발견함으로써 천문학계에 큰 업적을 남겼다.[109]
1588년 튀코를 매우 아끼던 프레데리크 2세의 죽음이 튀코의 지위를 위태롭게 하였다. 후계자 크리스티안이 국왕이 된 이후, 튀코의 지위는 낮아졌지만 튀코는 자신의 제자인 케플러와의 인연을 맺으면서 이 시대에서 가장 정확하고 자세한 천문학적 관측자료였던 튀코의 관측결과는 후에 케플러에게 모두 넘어갔다.
튀코가 관측한 별과 행성 궤도 등 여러 결과들은 양도 많을 뿐더러 모든 자료가 놀라울 정도로 정확하다.[110] 튀코의 별 관측 목록 D에 관하여 Rawlins는 ''이전의 어떠한 천문학자들보다 튀코는 관측방법, 기구, 계산 등 모든 면에서 월등히 뛰어난 관측''을 했다고 하였다. 그는 수년간에 걸쳐서 정확한 관측을 계속하면서 정확성은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극한까지 이르렀고,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은 관측으로는 가장 정밀하였다고 한다. 그의 정확성을 살펴본다면 그가 작성한 항성목록의 표준성좌표의 오차는 불과 25초에 지나지 않았다. 그가 오랜시간을 별의 위치를 측정하는데 바쳐 항성목록을 출판했는데 그 목록에는 777개 항성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했으며 나중에는 1000개까지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달궤도의 각 지점의 위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달 운동이론을 발전시키고 달궤도 귀착점의 속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천문학 발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의의를 가지는 것이 튀코 브라헤의 행성관측이었다. 당시의 정밀하지 못한 관측기구를 이용하여 가까운 항성의 이각[111][112]을 측정해내었다. 벤[113] 섬에서 연구하던 시절에 그는 항상 자신이 만든 사분의와 혼천의를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지만 갑작스럽게 찾아온 죽음에 의해 결국 수치화된 행성이론을 만들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은 케플러에 의해 완성되었다.[114]

티코의 과학관은 정확한 관측에 대한 열정으로 이끌렸으며, 측정 기기의 개선을 위한 탐구가 그의 평생의 업적을 이끌었다. 티코는 갈릴레이 등에 의해 하늘을 향하게 될 망원경의 도움 없이 작업한 마지막 주요 천문학자였다. 정확한 관측을 수행하는 데 육안의 한계가 있었기에 그는 육분의와 사분원과 같은 기존 기기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이러한 기기들의 더 큰 버전을 설계하여 훨씬 더 높은 정확도를 달성할 수 있었다. 그의 기기 정확도 덕분에 그는 바람과 건물의 움직임의 영향을 빠르게 깨달았고, 대신 기기를 지하에 직접 기반암에 설치했다.
티코의 항성과 행성 위치에 대한 관측은 정확성과 양 모두에서 주목할 만했다. 1각분에 근접하는 정확도로 그의 천체의 위치는 이전이나 동시대의 어떤 사람보다 훨씬 더 정확했다. 빌헬름 폰 헤세의 관측보다 약 5배 더 정확했다. Høg는 티코의 별 목록 D에 대해 "그 안에서 티코는 대규모로 이전 목록 작성자보다 훨씬 뛰어난 정확성을 달성했습니다. 목록 D는 전례 없는 기술의 융합을 나타냅니다. 즉, 기기, 관측 및 계산 기술이 모두 결합되어 티코가 기록한 수백 개의 별을 약 1분각의 정확도로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했습니다!"라고 주장한다.
그는 천체의 추정 위치가 실제 천체의 위치에서 일관되게 1분각 이내의 정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이 수준을 달성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그의 별 목록에 있는 많은 별 위치가 그보다 정확하지 않았다. 그의 최종 출판된 목록의 별 위치에 대한 중앙값 오차는 약 1.5분각으로, 항목의 절반만이 그보다 더 정확했으며, 각 좌표의 전체 평균 오차는 약 2분각이었다.
관측 기록에 기록된 별 관측은 더 정확했지만, 다른 기기에 따라 32.3"에서 48.8"까지 다양했지만, 최대 3분각의 체계적인 오차가 그의 별 목록에 출판된 일부 별 위치에 도입되었다. 예를 들어, 그가 잘못된 고대 시차 값을 적용하고 북극성 굴절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티코의 고용된 필사자들이 최종 출판된 별 목록에서 부정확하게 필사한 것이 훨씬 더 큰 오차의 원인이 되었으며, 때로는 수 도에 이르기도 했다.
수평선 근처와 그 위에서 관측된 천체는 대기 굴절로 인해 실제보다 더 큰 고도로 나타나며, 티코의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는 이 가능한 오차 원인을 체계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최초의 표를 만들고 출판한 것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아무리 발전했다 하더라도, 그들은 태양 굴절의 경우 45° 고도 이상에서, 별빛의 경우 20° 고도 이상에서 굴절을 전혀 적용하지 않았다.
그의 천문 데이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엄청난 수의 곱셈을 수행하기 위해 티코는 로그보다 앞선 삼각 함수 항등식 목록을 기반으로 한 곱셈을 근사하는 알고리즘인 당시 새로운 기술인 ''프로스타파에레시스''에 크게 의존했다.
튀코 브라헤는 여러 기기의 도움을 받아 많은 관측과 발견을 하였으며, 이 중 상당수는 그가 직접 제작했다. 그의 기기를 만들고 개선하는 과정은 처음에는 엉성했지만, 그의 관측을 발전시키는 데 매우 중요했다. 그는 라이프치히에서 학생으로 있을 때 초기 사례를 개척했다. 별을 바라보면서 그는 자신의 관측뿐만 아니라 각도와 설명도 기록할 더 나은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그는 관측의 사용을 개척했다. 이 노트에 그는 자신의 관찰을 기록하고 나중에 답변하기 위해 스스로 질문을 했다. 튀코는 또한 혜성에서 행성의 움직임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본 것을 스케치했다.
그의 천문학 기기 혁신은 학교를 졸업한 후에도 계속되었다. 상속을 받게 되자 그는 학생 시절에 사용했던 기기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기기를 만드는 데 바로 착수했다. 튀코는 지름이 39cm인 사분원을 만들었고, '핀나키디아'(pinnacidia) 또는 빛 절단기라고 번역되는 새로운 종류의 시준기를 추가했다. 이 새로운 시준기는 이전의 핀홀 스타일 시준기를 쓸모없게 만들었다. 핀나키디아의 시준기가 올바른 방식으로 정렬되면 정렬된 물체가 양쪽 끝에서 정확히 동일하게 보였다. 이 기기는 튼튼한 받침대에 고정되었으며, 황동 추선과 썸 스크류를 통해 조정되었으며, 이 모든 것은 튀코 브라헤가 천체의 정확한 측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튀코가 만든 기기는 특정 목적이나 그가 목격한 사건을 위한 경우가 있었다. 1577년 그가 우라니보르그라고 불리는 것을 처음 건설하기 시작했을 때가 그랬다. 그 해 하늘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혜성이 발견되었다. 이 기간 동안 튀코는 많은 관측을 했으며, 그가 관측을 위해 사용한 기기 중 하나는 황동 방위각 사분원이었다. 반경 65cm로 1576년 또는 1577년에 제작된 대형 기기였다. 1577년 혜성의 궤적과 거리를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기에 적절했다. 이 기기는 혜성이 태양계 궤도를 가로지를 때 혜성의 궤적을 정확하게 추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우라니보르그라고 불리는 튀코 브라헤의 새로운 영지에는 훨씬 더 많은 기기가 건설되었다. 이곳은 그의 발견과 많은 기기를 만든 집, 천문대, 실험실이 결합된 곳이었다. 이러한 기기 중 일부는 매우 컸으며, 지름이 6피트(또는 194cm)인 황동 호가 장착된 강철 방위각 사분원이 있었다. 이것과 다른 기기들은 영지에 부속된 두 개의 천문대에 배치되었다.

1572년 11월 11일에 티코 브라헤는 매우 밝은 별을 관측했다. 예기치 않게 카시오페이아자리에 나타난 이 별은 현재 SN 1572로 명명되었다. 고대 이래로 달 궤도를 넘어선 세계는 영구 불변(하늘의 불변은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세계관의 기본적인 공리였다.)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에, 다른 관측자들은 이 현상은 지상에서 달까지의 구체보다 아래의 현상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먼저 티코는 관측을 통해 이 천체에 배경 별에 대한 연주시차가 관측되지 않았음을 보였다. 이는 적어도 그러한 시차가 보이는 달이나 행성보다 이 천체가 멀리 있다는 것을 암시했다. 또한 모든 행성은 연주시차가 검출되지 않는 바깥쪽의 먼 행성이라도 주기적인 궤도 운동을 하고 있었지만, 그는 이 새로운 천체의 상대적 위치가 수개월 이상 배경 별에 대해 변하지 않았다는 것도 발견했다. 이는 이 천체가 행성도 아니고, 모든 행성보다 더 멀리 떨어진 천구에 있는 항성임을 보여주었다. 1573년, 그는 『''De nova stella''』라는 작은 책을 출판했다[43]。이 책에서 '새로운' 별을 위해 신성 (''nova'')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현재는 이 별은 초신성 ,''supernova''로 분류되어 지구로부터 7,500광년의 위치에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발견은 직업으로서 그가 천문학을 선택하는 데 결정적인 것이었다. 티코는 이 현상의 천문학적 의미를 물리치는 사람들에게 극히 비판적이었고, 『''De stella nova''』의 서문에 "''O crassa ingenia. O caecos coeli spectatores'' (오, 충만한 지혜여, 오, 맹목적인 하늘의 감시자여)"라고 썼다. 이 발견의 출판으로 그의 이름은 전 유럽의 과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588년, 티코의 후원자였던 프레데리크 2세가 사망했고, 티코의 위대한 연구 성과인 2권짜리 책 『''천문학 신설 입문''』이 출판되었다. 단, 1572년의 신성에 관해 기록한 제1권은 아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이는 1572년부터 1573년에 걸쳐 관측 기회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굴절, 세차 운동, 태양의 움직임 등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는 티코가 살아있을 때 완성되지 못했지만(1602년/1603년 프라하에서 출판), 1577년의 혜성을 다룬 제2권의 "''De Mundi Aetherei Recentioribus Phaenomenis Liber Secundus'' (''제2권 천계에 나타나는 최근 현상에 대하여'')"는 우라니보리에서 인쇄되어 여러 부가 1588년에 발행되었다. 이 책에는 1577년의 혜성 관측 외에 티코가 고안한 우주 체계에 대해 기록되어 있었다. 1580년 이후의 혜성을 비슷한 방법으로 다룬 제3권도 기획되었지만, 1585년의 혜성에 대한 많은 관측 결과가 정리되었음에도 출판되지 않았고, 쓰이지도 않았다. 이들은 이 혜성 관측 결과와 함께 1845년에 처음 출판되었다[47]。
우라니보리에서, 티코 브라헤는 유럽 전역의 과학자 및 천문학자들과의 서신 교환을 계속했다. 그는 다른 천문학자들의 관측 결과를 묻고, 그들이 더 정확한 관측을 할 수 있도록 자신의 기술 진보를 공유했다. 따라서 그가 가진 교류 관계는 그 자신의 연구에 중요했다. 이러한 서신 교환은 종종 학자들과의 사적인 관계뿐 아니라 관측 결과를 알리고, 진보와 과학적 합의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서신 교환을 통해 티코 브라헤는 그의 이론에 대한 비판자들과 몇몇 개인적인 분쟁에 휘말렸다. 비판자 중 저명한 인물로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관의 권위를 굳게 믿는 스코틀랜드 의사 존 크레이그가 있었고, 프라하의 궁정에 봉사하는 천문학자로 우르수스(''Ursus'')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니콜라우스 라이마르스 베어가 있었다. 니콜라우스 라이마르스는 티코가 그의 우주론 모델을 표절했다고 비난했다. 크레이그는 1577년의 혜성이 지구 대기권이 아닌 천구의 현상이라는 티코의 결론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했다. 크레이그는 티코의 방법론에 의문을 제기하고, 자신의 혜성 관측 결과를 사용하여 그 모순을 지적하려 시도했다. 이에 대해 티코 브라헤는 자신의 결론에 대한 『''apologia''』(변호)라는 제목의 출판물을 내고, 그 안에서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크레이그의 생각의 무능함을 주장하는 강한 어조로 비난했다. 또 다른 논쟁은 수학자 폴 위티치와의 것이었다. 그는 1580년에 벤 섬에 머문 후, 카셀의 빌헬름 4세와 그의 전속 천문학자인 크리스토프 로스만에게 티코의 허락 없이 티코의 관측 기구 복제품을 만드는 방법을 가르쳤다. 이어서, 비티히와 함께 배운 크레이그는, 티코가 사용하고 있는 몇몇 삼각법 이론 개발에 대한 비티히의 역할을 티코가 부당하게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티코 브라헤는 이러한 분쟁을 처리하는 데 있어, 출판 및 논의와 자신의 답변을 널리 알림으로써 과학 커뮤니티의 지지를 확보했다.
3. 2. 관측 결과의 정확성
튀코 브라헤가 관측한 별과 행성 궤도 등 여러 결과들은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모든 자료가 놀라울 정도로 정확했다.[110] 튀코는 이전의 어떠한 천문학자들보다 관측 방법, 기구, 계산 등 모든 면에서 월등히 뛰어났으며, 수년간 정확한 관측을 계속하여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극한에 이르렀다.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은 관측으로는 가장 정밀했다. 그가 작성한 항성 목록의 표준성좌표 오차는 불과 25초였다. 777개 항성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했으며, 나중에는 1000개까지 늘어났다. 달 궤도의 각 지점 위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달 운동 이론을 발전시키고 달 궤도 귀착점의 속도를 측정했다. 당시 정밀하지 못한 관측 기구를 이용하여 가까운 항성의 이각[111][112]을 측정해낸 것은 천문학 발전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벤[113] 섬에서 연구하던 시절에는 자신이 만든 사분의와 혼천의를 사용했지만,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수치화된 행성 이론을 완성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것은 케플러에 의해 완성되었다.[114]
튀코의 과학관은 정확한 관측에 대한 열정으로 이끌렸으며, 측정 기기 개선을 위한 탐구가 그의 평생 업적을 이끌었다. 튀코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이 망원경을 하늘로 향하게 하기 전, 망원경 없이 작업한 마지막 주요 천문학자였다. 정확한 관측을 수행하는 데 육안의 한계가 있었기에 육분의와 사분원 같은 기존 기기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더 큰 기기를 설계하여 훨씬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고, 바람과 건물 움직임의 영향을 깨달아 기기를 지하 기반암에 설치했다.
티코의 항성과 행성 위치 관측은 정확성과 양 모두에서 주목할 만했다. 1분각에 근접하는 정확도로, 이전이나 동시대의 어떤 사람보다 훨씬 더 정확했다. 빌헬름 폰 헤세의 관측보다 약 5배 더 정확했다. 튀코는 천체의 추정 위치가 실제 위치에서 1분각 이내의 정확도를 갖도록 목표했으며, 이를 달성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별 목록의 많은 별 위치가 그보다 정확하지 않았다. 최종 출판된 목록의 별 위치에 대한 중앙값 오차는 약 1.5분각이었고, 항목의 절반만이 그보다 정확했으며, 각 좌표의 전체 평균 오차는 약 2분각이었다.
관측 기록에 기록된 별 관측은 더 정확했지만, 기기에 따라 32.3"에서 48.8"까지 다양했다. 최대 3분각의 체계적인 오차가 별 목록에 출판된 일부 별 위치에 도입되었는데, 이는 잘못된 고대 시차 값을 적용하고 북극성 굴절을 무시했기 때문이다. 튀코의 고용된 필사자들이 최종 출판된 별 목록에서 부정확하게 필사한 것이 훨씬 더 큰 오차의 원인이 되었으며, 때로는 수 도에 이르기도 했다.
수평선 근처와 그 위에서 관측된 천체는 대기 굴절로 인해 실제보다 더 큰 고도로 나타난다. 튀코의 가장 중요한 혁신 중 하나는 이 가능한 오차 원인을 체계적으로 수정하기 위한 최초의 표를 만들고 출판한 것이다. 그러나 태양 굴절의 경우 45° 고도 이상에서, 별빛의 경우 20° 고도 이상에서 굴절을 전혀 적용하지 않았다.
튀코는 천문 데이터를 대량으로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엄청난 수의 곱셈을 수행하기 위해 로그보다 앞선 삼각 함수 항등식 목록을 기반으로 한 곱셈 근사 알고리즘인 ''프로스타파에레시스''에 크게 의존했다.
3. 3. 튀코의 천문대
1576년, 덴마크의 왕 프레데리크 2세는 튀코 브라헤에게 코펜하겐과 엘시노어 사이의 해협에 있는 벤(Hven) 섬을 증여했다. 튀코는 이 섬에 자신의 천문대인 우라니보르를 건설했다.[108] 1579년에 완공된 우라니보르는 중요한 과학 시설로 자리 잡았다. 튀코는 이곳에서 별, 태양, 화성, 목성, 토성 등의 궤도를 관측했지만, 수십 년 동안 큰 발전은 없었다. 그러나 1577년 밝은 혜성을 발견하여 천문학계에 큰 업적을 남겼다.[109]

우라니보르는 튀코 브라헤가 이전의 발견들을 연구하고 분석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발견을 탐구할 수 있는 곳이었다. 튀코 브라헤는 망원경이 등장하기 전 시대의 천문학자였다. 그는 맨눈으로 행성, 달, 별, 그리고 우주를 관찰하고, 매일 수많은 계산을 완료하면서 자신이 본 모든 것을 기록했다. 우라니보르의 위치는 전략적으로 선택되었으며, 고립과 지원이 벤 섬에 건설된 주요 이유였다. 고립은 정확한 관찰에 필수적이었고, 튀코 브라헤에게 다른 사람들의 방해 없이 자신의 연구에 더 잘 집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다. 또한 고립은 시간, 빛 또는 운동 관찰을 방해하는 것이 없었기 때문에 관찰에도 중요했다.[8]
튀코 브라헤는 완벽주의자였고, 고립되어 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연구를 완전히 통제할 수 있었고, 다른 사람의 제약에 얽매이지 않아 혁신적인 연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그는 다른 사람의 반발이나 질문을 받지 않고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자신의 일에 집중할 수 있었다. 고립은 그에게 제한 없이 자신의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유를 주었고, 천문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견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우라니보르는 당시 가장 진보된 천문대 중 하나였으며, 사분원, 육분의, 그리고 천문 시계를 포함한 여러 천문 기기를 갖추고 있었다.[9]
우라니보르에서 튀코 브라헤의 관찰과 계산을 통해 그는 더 정확한 태양계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그는 그 당시까지 가장 광범위하고 정확한 별의 위치 목록을 만들었다. 우라니보르에서 튀코 브라헤의 관찰과 계산을 통해 그는 미래의 천문학자들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10]
튀코는 우라니보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천문대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 헤레바드(Herrevad) 대수도원: 1574년에 관측 결과를 발표한 최초의 천문대.[115]
- Hesse-Kassel 천문대: 1575년, William IV를 만나기 위해 잠시 머문 곳.
- Stjerneborg 천문대: 1581년에 우라니보르 천문대 설립 이후 추가로 지은 천문대.
- Benátky nad Jizerou에 위치한 천문대: 왕이 바뀌면서 벤 섬에서 나온 튀코가 1년간 연구한 곳.
1588년 튀코를 매우 아끼던 프레데리크 2세가 사망하면서 튀코의 지위는 위태로워졌다. 후계자인 크리스티안 4세가 왕위에 오른 후 튀코의 지위는 낮아졌지만, 제자인 요하네스 케플러와의 인연을 맺게 되었고, 튀코의 관측 결과는 훗날 케플러에게 모두 넘어갔다.
4. 튀코 브라헤의 업적
튀코 브라헤는 정확한 관측을 추구했으며, 관측 기구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망원경을 사용하지 않은 마지막 주요 천문학자였으며, 육분의와 사분의와 같은 기존 관측 기구를 개선하여 더 정밀한 관측을 가능하게 했다.
튀코의 항성과 행성 위치 관측은 그 질과 양 모두에서 뛰어났다.[65][66][67] 관측 정밀도는 1분에 가까웠으며, 이는 동시대 천문학자 헤센-카셀 방백 빌헬름 4세보다 약 5배 더 정확한 것이었다.[67] 튀코는 자신의 천체 위치 예상 정밀도가 실제 위치에서 1분 이내라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그의 별표 좌표는 그 정도의 정확성은 아니었다. 출판된 별표의 오차 중앙값은 약 1.5분이었고, 전체적인 평균 오차는 약 2분이었다.[67]
튀코는 지평선 근처나 천정 방향에서 관측된 천체가 대기 굴절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수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표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45도 이상의 고도에서는 태양 위치에 굴절 효과가 없고, 20도보다 높은 위치의 별빛에도 굴절이 없다고 가정했다.
튀코는 방대한 양의 천문 데이터를 계산하기 위해 로그가 고안되기 전에 사용되었던 프로스타파헤레시스라는 새로운 기술을 크게 활용했다. 이것은 곱셈과 덧셈의 공식을 기반으로 삼각비의 곱의 근사값을 얻는 알고리즘이다.
튀코는 유럽 전역의 과학자 및 천문학자들과 서신을 교환하며[47] 자신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다른 천문학자들의 관측을 도왔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과 논쟁을 벌이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존 크레이그와 니콜라우스 라이머스 바에르가 있었다.
튀코 브라헤는 달의 이균차를 발견했다. 이는 달의 황경에 나타나는 부등식 중 하나이며, 중심차와 출차 다음으로 크다. 그는 또한 황도에 대한 달 궤도면의 기울기가 약 5도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1/4도 이상의 범위에서 변동하며, 달의 교점의 진동을 동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요하네스 케플러는 튀코의 화성 관측 기록을 사용하여 케플러의 법칙을 추론하고,[75][76] 루돌프 표를 통해 전례 없는 정밀도로 천문표 계산을 가능하게 했다.
4. 1. 초신성의 발견
1572년 11월 11일, 튀코 브라헤는 en에서 돌아오던 중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평소보다 밝게 빛나는 새로운 별을 발견했다. 이 별은 현재 SN 1572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별이 수정구에 고정되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는 큰 충격이었다. 튀코는 육분의[117][118]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관측했고, 이 별이 다른 별이나 행성들과 달리 연주시차가 관측되지 않아 움직이지 않으며, 행성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 별은 18개월 동안 사라지지 않고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지만, 1572년 이후 점점 희미해졌다.튀코는 이 관측을 바탕으로 ''새로운 별''을 출판하여 신성(''nova'')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으며, 이 밝은 물체가 다른 별들처럼 천구에 속해 있다고 주장했다.[121]
튀코 브라헤의 초신성 발견은 에드거 앨런 포의 시 Al Aaraaf와 셰익스피어의 햄릿에도 영감을 주었다.[121] 튀코는 초신성이 천구에 속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생각에 의문을 품었지만, 교황청의 압박 때문에 자신의 생각을 종교적인 관점으로 표현해야 했다.
튀코의 초신성 발견은 과학사에 큰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그의 사고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고, 이후 위대한 업적을 이루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
4. 2. 혜성의 관측
1572년 11월 11일, 튀코 브라헤는 카시오페이아 별자리에서 평소보다 밝은 별 하나를 발견했다. 이 별은 현재 SN1572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는 별이 수정구에 고정되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는 충격적인 발견이었다. 튀코는 육분의[117][118]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관측했고, 이 별이 다른 별이나 행성에 비해 움직임이 매우 작아 행성이 아니라고 결론내렸다. 이 별은 18개월 동안 관측되었으며, 1572년 이후 점차 희미해졌다. 튀코는 이 관측을 바탕으로 새로운 별 ''De Nova Stella''를 출판하여 신성[119][120]''nova''이라는 용어를 만들었고, 이 별이 천구에 속한다고 주장했다.[121]
튀코 브라헤의 초신성 발견은 에드거 앨런 포의 시 Al Aaraaf와 셰익스피어의 햄릿에도 영감을 주었다.[121] 튀코는 초신성이 천구에 속해 있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었지만, 교황청의 압박으로 인해 자신의 생각을 종교적 관점으로 표현했다. 이로 인해 그의 발견은 과학사에 크게 남지 못했지만, 그의 사고를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1577년 11월부터 1578년 1월까지 튀코는 대혜성을 관측했다. 당시 루터교에서는 혜성을 종말의 징조로 여겼고, 많은 덴마크 천문학자들이 파멸을 예언했다. 그러나 튀코는 혜성이 지구에서 달보다 멀리 떨어져 있으며, "지구권"에서 기원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튀코는 혜성의 꼬리가 항상 태양 반대 방향을 향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혜성의 지름, 질량, 꼬리 길이를 계산하고 물질을 추측했다. 혜성의 지구 접근 거리를 지구 반지름의 약 230배로 추정했으며, 수성과 금성 사이의 궤도를 가진다고 분석했다.[15]
이 관측은 튀코가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에서 벗어나, 지구가 움직이지 않는 대안적 모델을 개발하는 데 영감을 주었다. 혜성이 수성과 금성 사이를 이동한다는 것은 고정된 천구 개념과 모순되었고, 혜성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빈 공간이 존재함을 시사했다.[15] 튀코는 혜성에 대한 원고에서 경쟁자들의 예언을 거부하고, 모스크바의 유혈 사태와 이반 뇌제의 몰락을 예측했다.
4. 3. 튀코 브라헤의 우주 모델
튀코는 코페르니쿠스를 존경했고 덴마크에서 그의 이론을 처음으로 가르쳤지만, 코페르니쿠스 이론과 자신이 기초라고 믿었던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의 기본 법칙을 조화시킬 수 없었다. 그는 코페르니쿠스가 자신의 이론을 세운 관측 데이터에 대해 비판적이었는데, 그 데이터가 부정확하다고 정확하게 간주했다. 대신 튀코는 태양과 달이 지구를 공전하고 다른 행성들이 태양을 공전하는 "지구-태양 중심" 체계를 제안했다. 그의 체계는 코페르니쿠스 체계의 많은 관측 및 계산상의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 체계는 기존의 모델에 불만을 품었지만, 지동설을 받아들이기를 꺼려했던 천문학자들에게 안전한 위치를 제공했다.
1616년 이후 가톨릭 교회가 지동설을 철학과 기독교 성경에 반하는 것으로 선언하고, 계산상의 편의로만 논의될 수 있다고 선언하면서 추종자들을 얻었다. 튀코의 체계는 행성을 궤도로 운반하기 위한 투명한 회전 결정 구체의 아이디어를 제거했다는 점에서 주요 혁신을 제공했다. 케플러와 다른 코페르니쿠스 천문학자들은 튀코에게 태양계의 지동설을 채택하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튀코에게 움직이는 지구의 아이디어는 "모든 물리적 진실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중요한 성경의 권위에도 위배되는 것이었다."
튀코는 지구가 너무 둔하고 덩치가 커서 지속적으로 움직일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당시 받아들여진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에 따르면, 끊임없이 움직이고 순환하는 천체는 에테르로 만들어졌는데, 에테르는 지구에서 발견되지 않는 물질로, 물체가 원을 그리며 움직이게 했다. 반대로, 지구상의 물체는 움직여야만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며, 표면의 물체의 자연 상태는 정지 상태였다. 튀코는 지구를 움직이기 어려운 불활성체라고 말했다. 그는 코페르니쿠스가 말한 것처럼 태양과 별의 뜨고 지는 현상이 자전하는 지구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했지만, 여전히 다음과 같이 말했다.
> "그러한 빠른 운동은 매우 무겁고 밀도가 높으며 불투명한 지구의 것이 아니라, 오히려 형태와 미묘하고 끊임없는 물질이 매우 빠른 영구적인 운동에 더 적합한 하늘 자체의 것이다."
튀코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한다면 6개월마다 관찰 가능한 별 시차가 있어야 한다고 믿었다(별의 위치는 지구의 위치 변화로 인해 변경될 것이다).[29] 별 시차가 없다는 것은 코페르니쿠스 이론에서 별이 지구로부터 엄청나게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었다. 튀코는 하늘의 별들의 겉보기 상대적 크기를 관찰하고 측정하려 했다. 그는 기하학을 사용하여 코페르니쿠스 체계에서 별까지의 거리가 태양에서 토성까지의 거리보다 700배 더 커야 하며, 이러한 거리에서 보이려면 별이 거대해야 하고, 지구 궤도만큼 크거나, 태양보다 훨씬 커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튀코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원한다면 이러한 것들을 기하학적으로 추론해 보십시오. 그러면 이 가정 [지구의 운동]이 암시하는 많은 터무니없는 것들을 볼 수 있을 것입니다(다른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코페르니쿠스 지지자들은 튀코의 기하학에 종교적인 반응을 보였다. 거대한, 멀리 떨어진 별들은 비합리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창조주가 원한다면 자신의 창조물을 그렇게 크게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실제로 로스만은 튀코의 이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 "[평균적인 별]의 크기가 전체 [지구 궤도]와 같다는 것이 무엇이 그렇게 터무니없습니까? 이것이 신의 뜻에 반하는 것이나, 신의 본성에 의해 불가능한 것이나, 무한한 본성에 의해 용납될 수 없는 것이 무엇입니까? 만약 당신이 여기서 터무니없는 것을 추론하고 싶다면, 당신은 이것들을 완전히 증명해야 합니다. 속된 사람들이 얼핏 보기에는 터무니없는 것으로 보이는 것들을 터무니없다고 비난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실제로 신의 지혜와 위엄은 그들이 이해하는 것보다 훨씬 큽니다. 우주의 광대함과 별의 크기가 당신이 원하는 만큼 크다고 가정하십시오. 그것들은 여전히 무한한 창조주와 아무런 비례 관계를 갖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왕이 클수록 그 위엄에 걸맞은 궁전도 더 크고 더 커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당신은 신에게 얼마나 큰 궁전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종교는 튀코의 지구 중심설에 역할을 했다. 그는 지구를 정지 상태로 묘사하는 성경의 권위를 인용했다. 그는 성경적 주장을 단독으로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 그에게 그것들은 지구 운동에 대한 부차적인 반대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는 과학적 주장에 집중하게 되었지만, 그는 성경적 주장을 진지하게 받아들였다.
튀코의 1587년 지구-태양 중심 모델은 비티히, 라이마루스 우르수스, 헬리사에우스 로슬린, 데이비드 오리기누스와 같은 다른 지구-태양 중심 천문학자들의 모델과 달랐는데, 그 이유는 화성과 태양의 궤도가 교차했기 때문이다. 이는 튀코가 화성의 충(즉, 화성이 하늘에서 태양의 반대편에 있을 때)에서 지구로부터의 거리가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보다 작다고 믿게 되었기 때문이다. 튀코는 화성이 태양보다 더 큰 일주 시차를 가졌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렇게 믿었다. 1584년, 그는 동료 천문학자 브루카에우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1582년의 충에서 화성이 태양보다 더 멀리 있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화성이 일주 시차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다는 것을 관찰했기 때문이다.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모델이 화성이 태양의 3분의 2 거리에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기 때문에, 그 모델을 거부했다고 말했다.
그는 나중에 마음을 바꿔 충에서 화성이 실제로 태양보다 지구에 더 가깝다는 의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이지만, 눈에 띄는 화성 시차에 대한 유효한 관측 증거는 없었다. 이러한 교차하는 화성 및 태양 궤도는 단단한 회전 천구가 존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했는데, 왜냐하면 그들이 서로 관통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결론은 1577년의 혜성이 달보다 일일 시차가 적고, 따라서 천구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초월적이라는 결론에 의해 독립적으로 뒷받침되었다. 튀코 브라헤와 그의 동시대인들은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에 대한 완전히 발전된 대안을 가지고 있지 않았지만, 브라헤의 혜성 관측은 그 유효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했다.[15]
4. 4. 튀코 브라헤의 달 이론
티코 브라헤는 달 이론에서 독창적인 발견을 했는데, 바로 달 경도의 변이를 발견한 것이다. 이는 중심차와 부등점 다음으로 큰 경도 불균등성에 해당한다. 또한 황도면에 대한 달 궤도면 기울기가 진동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는데, 이전에는 약 5°로 고정된 값이라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0.25° 이상 범위에서 변동했다. 달의 교점 경도에서도 진동이 함께 나타났는데, 이는 달의 황도 위도에서의 섭동을 의미한다. 티코의 달 이론은 고대부터 알려진 것에 비해 달 불균등성의 수를 두 배로 늘렸고, 달 이론의 불일치를 이전의 약 5분의 1로 줄였다.[121] 이 이론은 1602년 케플러에 의해 사후 출판되었으며, 케플러가 발전시킨 형태는 1627년 케플러의 《루돌프 표》에 실렸다.[121]5. 튀코 브라헤 전후의 천문학
튀코 브라헤는 프레데릭 2세 국왕의 지원을 받아 벤 섬에 우라니보르 천문대를 건설했다. 우라니보르는 당시 기독교 유럽에서 가장 초기의 대규모 천문대 중 하나였다.[6] 튀코는 이곳에서 맨눈으로 천체를 관측하고 방대한 양의 자료를 기록했다. 그는 완벽주의적인 성격과 벤 섬의 고립된 환경 덕분에 다른 사람의 방해 없이 연구에 집중할 수 있었고, 이는 천문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견을 하는 데 기여했다.[9]
튀코는 우라니보르 외에도 스테르네보르라는 지하 천문대를 건설하여 정밀한 관측을 수행했다. 우라니보르에는 인쇄기와 제지소가 있어 자신의 연구 결과를 출판할 수 있었으며, 이는 당시 스칸디나비아 최초의 시설 중 하나였다.[7]
튀코는 유럽 전역의 과학자들과 서신을 교환하며 자신의 연구를 공유하고 다른 천문학자들의 관측에 대해 문의했다. 그는 자신의 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과 논쟁을 벌이기도 했는데, 대표적인 인물로는 존 크레이그와 니콜라우스 라이머스 바에르가 있었다.[77]
1588년, 튀코의 후원자였던 프레데릭 2세가 사망하고, 튀코의 대작 Astronomiae Instauratae Progymnasmata|새로운 천문학 입문la 2권이 출판되었다. 1권은 1572년의 새로운 별에, 2권은 1577년 혜성에 관한 내용이었다.[77]
튀코 브라헤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지구의 움직임을 증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독자적인 우주 모델을 제시했다. 그의 관측 자료는 이후 요하네스 케플러가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발견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77]
5. 1. 튀코 브라헤 이전의 천문학
프톨레마이오스[143]는 천동설을 주장했는데, 이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지구를 중심으로 모든 천체가 공전한다는 우주 모델이다. 옛 사람들은 땅은 움직이지 않고 하늘이 회전한다고 생각했으며, 중세 봉건시대에는 신이 우주를 창조했고 천체는 둥글고 고귀하기 때문에 지구가 중심을 차지하며 조화롭게 등속 운동을 한다는 믿음이 있었다. 이러한 믿음은 지구 구형설과 지구 중심설에 바탕을 두었다.기원전 4세기경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진 후, 지구 중심설 모델은 수정되기 시작했다. 페르게의 아폴로니오스는 태양과 달의 부등속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심원을 도입했고, 주전원을 통해 행성의 역행과 지구 접근을 설명했다.
이후 프톨레마이오스는 천동설을 구체화하여 우주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했고, 그의 체계는 코페르니쿠스가 지동설을 주장하기 전까지 확고한 믿음으로 자리 잡았다.[144]
5. 1. 1. 프톨레마이오스의 체계
프톨레마이오스[143]의 체계는 흔히 천동설이라 불린다. 천동설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지구를 중심으로 모든 천체가 공전한다는 우주 모델이다. 옛날 사람들은 땅은 움직이지 않고 하늘이 회전한다고 생각했다. 그 후 중세 봉건시대에는 우주를 신이 창조했다고 믿었으며, 천체는 둥글고 고귀하기 때문에 지구는 중심을 차지하며, 조화되어 있기 때문에 등속 운동을 한다는 전제를 두었다. 여기에 지구 구형설과 지구 중심설이 있었다.기원전 4세기경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이 받아들여졌다. 그 후 이를 토대로 지구 중심설 모델을 수정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페르게의 아폴로니오스는 태양과 달의 부등속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이심원을 채용하였다. 또한 주전원을 도입하여 행성의 역행과 지구 접근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하였다.
서기 2년에 프톨레마이오스는 지구 중심설을 이용하여 우주에 대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설명, 즉 천동설을 구체화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번호 | 내용 |
---|---|
1 |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달, 수성, 금성, 태양, 화성, 목성, 토성이 순서대로 공전하고 있고, 별들은 고정되어 있다. |
2 | 각각의 행성은 주전원을 따라 돌고 있고, 주전원의 중심은 이심원을 따라 돌며, 이심원의 중심 근처에 지구가 위치한다. |
3 | 역행 운동을 하는 이유는 작은 원을 그리면서 주전원을 돌기 때문이다. |
4 | 내행성의 최대 이각 현상은 지구와 태양을 잇는 직선 위에서 작은 원을 그리기 때문이다. |
이러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체계는 코페르니쿠스가 의심을 품고 새로운 우주 모델인 지동설을 주장하기 전까지 확고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144]
5. 1. 2. 코페르니쿠스의 체계
튀코 브라헤는 코페르니쿠스를 칭찬하면서도 그의 기본적인 물리 이론을 자신의 견해와 일치시킬 수는 없었다.[1]5. 2. 튀코 브라헤 이후의 천문학
케플러, 갈릴레이, 베셀 등 튀코 브라헤 이후 저명한 천문학자들이 나오면서 천문학은 과학에서 서서히 자리 잡기 시작했다. 1588년, 튀코의 왕실 후원자가 사망했고, 튀코의 대작 2권 Astronomiae Instauratae Progymnasmata|새로운 천문학 입문la가 출판되었다.[77] 1권은 1572년의 새로운 별에, 2권은 1577년 혜성에 할애되었으며, 3권은 1580년 이후의 혜성들을 다루기 위한 것이었으나 출판되지는 않았다.우라니보르에 있는 동안, 튀코는 유럽 전역의 과학자 및 천문학자들과 서신을 교환하며 자신의 이론을 비판하는 사람들과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특히, 존 크레이그와 니콜라우스 라이머스 바에르와의 논쟁이 두드러졌다.[77]
케플러는 튀코의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을 추론했고,[77] 이를 통해 천문 표(루돌핀 표)를 계산할 수 있었다.[77]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1610년 망원경으로 금성이 완전한 위상 변화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한 것은 지구 중심적 프톨레마이오스 모델을 반박했다. 그 이후 17세기 천문학은 지오-태양 중심 행성 모델로 전환된 것으로 보인다.[77]
세 가지 주요 지오-태양 중심 모델은 튀코식, 카펠라식, 리치올리의 확장된 카펠라 모델이었다. 튀코식 모델이 가장 인기가 있었지만, 아마도 지구가 매일 회전하는 '세미 티코식' 버전이었을 것이다. 튀코의 전 조수이자 제자인 롱고몬타누스는 1622년 저서 ''덴마크 천문학''에서 이 모델을 옹호했다.[77]

열렬한 반 태양 중심주의 프랑스 천문학자 장-밥티스트 모린은 1650년 ''루돌핀 표''의 단순화된 티코식 버전으로 타원 궤도를 가진 티코식 행성 모델을 고안했다.[77] 티코식 시스템에 대한 어느 정도의 수용은 17세기와 18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1633년 코페르니쿠스 논쟁에 대한 법령 이후 예수회에서 출판된 "티코 지지 문헌의 홍수"에 의해 지원받았다.[77]
제임스 브래들리가 1729년에 발표한 광행차의 발견은 마침내 티코의 모델을 포함한 모든 형태의 지구 중심설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했다.[77]
5. 2. 1. 케플러
케플러는 튀코 브라헤의 제자였다. 튀코 브라헤와 케플러의 관계는 그리 우호적이지 않았다. 케플러가 튀코 브라헤에게 완전히 의지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자, 튀코 브라헤는 이에 불만을 품었다. 튀코 브라헤의 건강이 악화되던 중, 케플러는 황제를 기리기 위한 루돌프 표 (''Rudolpine Tables'') 행성궤도 표 편찬 작업에 튀코의 공식 조교로 임명되었다. 튀코 브라헤는 죽기 직전 자신의 평생에 걸친 관측 자료와 루돌프 표 제작 임무를 케플러에게 모두 넘겨주었다. 케플러는 튀코 브라헤의 관측 자료를 분석하여 케플러 제1, 2, 3 법칙을 만들었다. 케플러 외에도 갈릴레오 갈릴레이, 베셀 등 저명한 천문학자들이 등장하면서 천문학은 과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프라하에서 튀코는 그의 조수였던 케플러와 긴밀히 협력했다. 케플러는 확고한 코페르니쿠스주의자였으며, 튀코의 모델이 잘못되었고 코페르니쿠스 모델에서 태양과 지구의 위치를 단순히 "반전"시킨 것에서 유래했다고 생각했다. 둘은 함께 정확한 위치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별 목록을 작업했으며, 이 목록은 루돌핀 천체표가 되었다.
케플러는 튀코의 방법과 관측 정확성에 큰 존경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를 천문학 과학을 복원할 기초를 제공할 새로운 히파르코스로 여겼다.
5. 2. 2.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진자의 등시성 및 관성 법칙을 발견한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물리학자, 수학자이다. 그는 천문학에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굳게 믿었고,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은 강하게 비판하였다.[160] 1597년 케플러에게 보낸 편지와 1610년 발표한 관찰 결과에서 바다의 조수 현상, 태양의 흑점, 달 표면, 금성의 위상 변화, 목성의 4개 위성 등은 천동설로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망원경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튀코 브라헤 못지않게 천문학에 크게 기여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코페르니쿠스 두 개의 주요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161]라는 책으로 자신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주장했지만, 교황청과 갈등을 겪으며 지동설 주장을 철회했다. 하지만 그의 업적은 이미 천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고, 약 350년 후 다시 인정받게 된다.[162]5. 2. 3. 베셀
베셀은 1838년에 지구 공전의 증거가 되는 연주시차[163][164]를 계산해냈다. 튀코 브라헤는 맨눈으로 자신의 관측 사실과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금성 위상 변화 관측을 통하여 지동설을 믿었지만, 결정적인 증거인 연주시차는 그의 맨눈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하였다.[165] 그래서 그는 코페르니쿠스와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의 타협안인 절충설을 내놓은 것이다. 하지만 베셀은 초 단위로 계산 가능한 연주시차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 지동설은 과학자들 사이에서 확고히 자리를 잡을 수 있었다. 또한, 연주시차를 통하여 후세의 천문학자들은 그 별까지의 거리도 잴 수 있었다.6. 튀코 브라헤의 예술적 면모
튀코 브라헤는 훌륭한 기술자이자 천문학자일 뿐만 아니라 예술가였다. 그는 주위의 모든 것을 혁신적이고 아름답게 꾸미기를 좋아했고, 자신의 원고를 직접 제본·제작하기 위해 출판사를 차렸다. 뿐만 아니라 가장 정확하고 정교한 천문기기를 만들기 위해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기술자를 초청하여 기기를 만들었다.[166] 또 이탈리아와 독일의 예술가와 건축가를 설득하여 자신의 천문대를 설계하고 아름답게 꾸미도록 했다. 위생을 위하여 위생 세면 시설을 위한 압력장치 역시 고안했다.[166] 우라니보르그는 북유럽의 천문학 연구와 관측의 중심지가 되겠다고 기대한 프레데리크 2세의 만족을 충족시켰다.[166]
튀코의 새로운 별 발견은 에드거 앨런 포의 시 "알 아라프"의 영감이 되었다. 1998년, ''스카이 & 텔레스코프'' 잡지는 도널드 올슨, 마릴린 S. 올슨, 러셀 L. 되셔의 기사를 게재했는데, 튀코의 초신성이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나오는 "극에서 서쪽으로 떨어진 별"과 동일하다는 주장을 포함하고 있었다.
튀코는 세라 윌리엄스의 시 늙은 천문학자에서 직접 언급된다. "내 튀코 브라헤를 내려주세요그를 만나면 알아볼 수 있도록." 하지만, 시의 자주 인용되는 구절은 나중에 나온다. "비록 내 영혼이 어둠 속에서 저물지라도, 완전한 빛 속에서 떠오르리라. / 나는 밤을 두려워하기에는 별을 너무나 진실하게 사랑했다."
알프레드 노이스는 그의 ''하늘의 감시자들''(1922년의 ''횃불 전달자들''의 첫 번째 부분)에서 브라헤를 기리는 긴 전기적 시를 포함시켰으며, 알려진 역사를 매우 낭만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방식으로 상세히 설명했다.
7. 튀코의 업적이 미친 영향
튀코 브라헤의 절충설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천문학적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는 지구 중심설을 주장하면서도 천동설을 부정한 마지막 천문학자로, 그를 통해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우주관이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관측은 과학혁명[167][168]에 크게 기여했으며, 요하네스 케플러가 행성 운동 법칙을 세우고 천체 운동을 자세히 기술하는 데 바탕이 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튀코 신성, 튀코 분화구 등이 만들어졌고, 튀코 브라헤 천문관도 건립되었다.
튀코 브라헤는 천문학뿐만 아니라 1900년대까지 사용된 약초학을 발전시켜 의학 발전에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그가 우라니보르에 설립한 연구회는 연구 센터와 교육 기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며, 덴마크와 외국 학생들에게 약초학과 천문학을 가르치는 대학원 구실을 했다.
이처럼 튀코 브라헤는 정확하고 객관적인 관측을 수행한 천문학자로, 의학, 교육학 등에도 영향을 끼친 인물로 평가받는다. 2008년 제정된 티코 브라헤 상은 유럽 천문학회에서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유럽 천문 기기 개발 또는 활용에 공헌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주요 발견을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30]
튀코 분화구와 튀코 브라헤 분화구, 소행성 1677 튀코 브라헤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32] 밝은 초신성 SN 1572는 튀코의 초신성으로도 알려져 있으며,[31] 코펜하겐의 튀코 브라헤 천문관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33]
8. 튀코 브라헤의 날
스칸디나비아 민간 전승에서 Tycho Brahe days영어는 "불운한 날(''unlucky days'')"을 가리킨다. 이것은 1700년대에 많은 생활력에 기재되기 시작했지만, 튀코 브라헤 자신의 연구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1]
9. 튀코 브라헤의 저서
- 1573년 새로운 별(De Nova et Nullius Aevi Memoria Prius Visa Stella)
- * 튀코 브라헤는 그가 제작한 커다란 육분의를 이용하여 하늘에서 18개월 동안 사라지지 않는 새로운 별을 관측했고, 그것에 관하여 책을 썼다.[1]
- 1587-88년 새로운 천문학 입문 (Astronomiae Instauratae Progymnasmata)
- * 튀코의 혜성 연구와 초신성 관측에 관한 대표작으로써, 2년에 걸쳐 두 권이 출판되었다.[2] 이 책은 최초로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와 코페르니쿠스 체계사이에서 타협을 시도했다.[2]
- 1588년 De Mundi Aetherei Recentioribus Phaenomenis[3]
- 1598년 Astronomiae Instauratae Mechanica[4]
- 1602년 Astronomiae Instauratae Progymnasmata[5]
- https://www.loc.gov/item/85194796/ ''De Mundi Aetherei Recentioribus Phaenomenis Liber Secundus'' (우라니보르, 1588; 프라하, 1603; 프랑크푸르트, 1610)[6]
- https://www.loc.gov/item/85194777/ ''Tychonis Brahe Astronomiae Instauratae Progymnasmata'' (프라하, 1602/03; 프랑크푸르트, 1610)[7]
참조
[1]
서적
Galileo and 400 Years of Telescopic Astronomy
https://books.google[...]
Springer
[2]
웹사이트
Tycho Brahe (1546-1601)
https://www2.hao.uca[...]
2024-07-22
[3]
서적
The Invention of Science: A New History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https://www.worldcat[...]
HarperCollins
2015
[4]
웹사이트
Immatrikulation von Tycho Brahe
http://purl.uni-rost[...]
University of Rostock
2022-12-21
[5]
뉴스
Tycho Brahe Died from Pee, Not Poison
http://www.livescien[...]
2022-12-21
[6]
웹사이트
Tycho Brahe (1546–1601)
http://galileo.rice.[...]
Rice University
2022-12-21
[7]
간행물
"Star Castle: Going Down to See Up"
Reaktion Books
2020
[8]
간행물
"Star Castle: Going Down to See Up"
Reaktion Books
2020
[9]
간행물
"Star Castle: Going Down to See Up"
Reaktion Books
2020
[10]
간행물
"Star Castle: Going Down to See Up"
Reaktion Books
2020
[11]
서적
The Follies of Science at the Court of Rudolph II: 1576–1612
https://books.google[...]
Pharmaceutical Review Publishing Co.
[12]
웹사이트
De nova et nullius ævi memoria prius visa stella
http://www.texts.dnl[...]
[13]
서적
De nova stella: summi civis memor denuo
https://books.google[...]
1901
[14]
웹사이트
Tycho Brahe at Hveen
https://www.peterbea[...]
2024-07-26
[15]
간행물
Defenseless eyes against the sky. A narrative of some astronomical observations before the invention of the telescope
2023
[16]
웹사이트
Tycho Brahe: Astronomiæ instauratæ (1602)
http://www.sil.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6-07-19
[17]
웹사이트
Tycho Brahe: Astronomiæ instauratæ (1602)
http://www.sil.si.ed[...]
Smithsonian Institution
2016-07-19
[18]
웹사이트
Tycho Brahe and Astrology
http://www.hps.cam.a[...]
2008-10-02
[19]
웹사이트
Brahe, Tycho (1546–1601)
http://scienceworld.[...]
Eric W. Weisstein
2012-08-13
[20]
웹사이트
Astronomer Tycho Brahe died of burst bladder, not poisoning
https://www.nbcnews.[...]
2023-08-04
[21]
간행물
The cause of death of Tycho Brahe in 1601
Molina Press, Leipzig
1994
[22]
뉴스
Tycho Brahe to be exhumed
http://www.cphpost.d[...]
2010-05-27
[23]
웹사이트
The opening of Tycho Brahe's tomb
http://humaniora.au.[...]
Aarhus University
2010-10-27
[24]
뉴스
Astronomer Tycho Brahe 'not poisoned', says expert
https://www.bbc.co.u[...]
2012-11-15
[25]
간행물
Was Tycho Brahe Poisoned? According to New Evidence, Probably Not
https://newsfeed.tim[...]
2012-11-17
[26]
간행물
Detection of mercury in the 411-year-old beard hairs of the astronomer Tycho Brahe by elemental analysis in electron microscopy
2012
[27]
문서
Rawlins
1993
[28]
웹사이트
Tycho Brahe (1546–1601)
https://www2.hao.uca[...]
UCAR
2021-11-27
[29]
웹사이트
Friedrich Wilhelm Bessel
http://www-history.m[...]
University of St Andrews
2008-09-28
[30]
웹사이트
Tycho Brahe Medal
http://eas.unige.ch/[...]
European Astronomical Society
2022-12-20
[31]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the Solar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33]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4]
문서
Jackson
2001
[35]
문서
Šolcová
2005
[36]
서적
The Metaphysical Foundations of Modern Physical Science
1925
[37]
문서
デンマーク語固有名詞カナ表記小辞典
http://www.sfs.osaka[...]
[38]
문서
ホスキン 2013
[39]
웹사이트
Rostock Matrikelportal entry of Tycho Brahe
http://purl.uni-rost[...]
[40]
간행물
The Search for Tycho Brahe's Nose
2004-07
[41]
서적
Tycho Brahe: Mapping the Heavens
Morgan Reynolds Publishing
[42]
웹사이트
Tycho Brahe Died from Pee, Not Poison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2-11-16
[43]
웹사이트
De nova et nullius ævi memoria prius visa stella
http://www.texts.dnl[...]
2009-02-24
[44]
웹사이트
Physics Today August 2001
http://www.physicsto[...]
2019-05
[45]
문서
Christianson
1979
[46]
웹사이트
Tycho Brahe: a picture of scientific life and work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wikisource.o[...]
Adam and Charles Black, Edinburgh
1890
[47]
서적
Tycho Brahe: a Picture of Scientific Life and Work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 & C. Black
1890
[48]
웹사이트
Astronomiæ instauratæ mechanica by Tycho Brahe: Introduction
http://www.sil.si.ed[...]
Smithsonian Institution Libraries
1999-05
[49]
웹사이트
Tycho Brahe and Astrology
http://www.hps.cam.a[...]
1999
[50]
뉴스
Murder! Intrigue! Astronomers?
https://www.nytimes.[...]
2010-11-29
[51]
문서
Ne frustra vixisse videar!
[52]
웹사이트
Brahe, Tycho (1546–1601) – from Eric Weisstein's ''World of Scientific Biography''
http://scienceworld.[...]
Scienceworld.wolfram.com
[53]
간행물
The cause of death of Tycho Brahe in 1601
MOLINApress, Leipzig
1994
[54]
웹사이트
Did mercury poisoning cause the death of Tycho Brahe?
www.fixedearth.com/b[...]
1996
[55]
웹사이트
Did Johannes Kepler murder Tycho Brahe?
http://hnn.us/articl[...]
History News Network
2012-01-16
[56]
웹사이트
The Death of Tycho Brahe
http://space.about.c[...]
About.com
[57]
웹사이트
Tycho Brahe to be exhumed
http://www.cphpost.d[...]
The Copenhagen Post
2010-02-04
[58]
웹사이트
Digging up Brahe
http://www.praguepos[...]
The Prague Post
2010-05-12
[59]
웹사이트
The opening of Tycho Brahe's tomb
http://humaniora.au.[...]
Aarhus University (Faculty of Humanities)
2010-10-21
[60]
뉴스
Astronomer Tycho Brahe 'not poisoned', says expert
https://www.bbc.co.u[...]
news.bbc.co.uk
2012-11-15
[61]
간행물
Was Tycho Brahe Poisoned? According to New Evidence, Probably Not
http://newsfeed.time[...]
2012-11-17
[62]
간행물
Detection of mercury in the 411-year-old beard hairs of the astronomer Tycho Brahe by elemental analysis in electron microscopy
2012
[63]
웹사이트
Renaissance astronomer Tycho Brahe was full of gold
https://www.eurekale[...]
2016-12-01
[64]
웹사이트
Danish astronomer Tycho Brahe exhumed
http://archaeologycu[...]
archaeologycurrentevents.com
[65]
문서
Thoren
1989
[66]
문서
Hoskin
1999
[67]
문서
Rawlins
1993
[68]
문서
ホスキン 2013
[69]
문서
Blair
1990
[70]
웹사이트
Bessel biography
http://www-history.m[...]
[71]
문서
ホスキン 2013
[72]
문서
Blair, 1990
[73]
문서
Dreyer
[74]
서적
The Wittich Connection
[75]
문서
Gingerich
[76]
문서
Linton
[77]
웹사이트
Al Aaraaf and West Point
http://www.poedecode[...]
2006-02-07
[78]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the Solar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0]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81]
서적
Field Guide to the Palms of the Americas
Princeton University Press
[82]
문서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1559~88 재위)이다. 그는 또한 튀코 브라헤에게 벤섬을 하사했고, 이곳에 관측소를 설립할 자금을 마련해주기도 했다.
[83]
문서
슈피로, 《케플러의 추측》
[84]
서적
Science: A History
[85]
문서
안데르스 소렌센 베델은 중간계급 출신이고 티코보다 5살이 많았다. 티코를 보호자처럼 돌보고, 감시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86]
서적
Tycho&Kepler: the unlikely partnership that forever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heavens
https://archive.org/[...]
[87]
서적
Tycho&Kepler: the unlikely partnership that forever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heavens
https://archive.org/[...]
[88]
문서
한 [[천문대]]에서 일정한 기간 동안 [[천체]]를 관측하고 그 결과에 의하여 별들의 상태나 [[위치]]를 나타낸 표. 관측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89]
URL
관측성표의 정의(사전)
http://krdic.naver.c[...]
[90]
문서
[[항해]]와 천문학에 사용되던 표준 도구로, 십자형으로 서로 직각을 이루는 두 개의 막대로 되어있다. 일정한 눈금은 이용하여 사이의 각을 잴 수 있게 만들었다.
[91]
문서
장비를 바꾸기에는 돈이 너무 많이 들때 옛 사람들이 더 정확한 관측을 같은 도구로 하기 위해 만든 표
[92]
서적
Science: A History
[93]
문서
슈피로, 위의 책
[94]
서적
Science: A History
[95]
문서
슈피로, 위의 책
[96]
URL
entry of Tycho Brahe in [[Rostock Matrikelportal]]
http://purl.uni-rost[...]
[97]
문서
[[왕실]] 또는 [[정부]]에서 사적이거나 비밀스러운 일들을 담당하는 [[고문]]
[98]
서적
Science: A History
[99]
서적
Science: A History
[100]
서적
Science: A History
[101]
웹인용
Tycho Brahe(1995,Albert Van Helden)
http://www.highfront[...]
2012-04-19
[102]
서적
Science: A History
[103]
서적
행성운동과 케플러
바다출판사
[104]
문서
황제를 기리기 위해 만든 행성퀘도 표. 튀코와 케플러가 작성한 표로써 루돌프 표라고도 불린다.
[105]
웹인용
Astronomer Tycho Brahe 'not poisoned', says expert
http://www.bbc.co.uk[...]
news.bbc.co.uk
2012-11-15
[106]
웹인용
Was Tycho Brahe Poisoned? According to New Evidence, Probably Not
http://newsfeed.time[...]
time.com
2012-11-17
[107]
웹인용
Tycho Brahe Died from Pee, Not Poison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2-11-16
[108]
서적
Tycho&Kepler: the unlikely partnership that forever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heavens
https://archive.org/[...]
[109]
서적
Science: A History
[110]
간행물
Astronomy in the Renaissance
British Museum Press
[111]
문서
태양계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내행성이 있을 경우 태양과 지구,행성과의 각거리
[112]
웹사이트
이각의 정의(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13]
문서
튀코 브라헤가 수십년동안 천문관측을 한 섬
[114]
서적
지도로 보는 세계 과학사
[115]
서적
Tycho&Kepler: the unlikely partnership that forever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heavens
https://archive.org/[...]
[116]
서적
Tycho&Kepler: the unlikely partnership that forever changed our understanding of the heavens
https://archive.org/[...]
[117]
문서
원의 6분의 1의 원호 모양을 한 프레임을 가지고 있는 모양으로 두 점 사이의 각도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광학기계
[118]
웹사이트
육분의의 정의(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19]
문서
격변 변광성의 하나로 육안이나 망원경으로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어둡던 별이 갑자기 밝아져 수일 내에 빛의 밝기가 수천 배에서 수만 배에 이르는 별을 말한다
[120]
웹사이트
신성의 정의(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21]
서적
Science : A History
[122]
문서
태양이나 큰 질량의 행성에 대하여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를 가지고 도는 태양계 내에 속한 작은 천체
[123]
웹사이트
혜성의 의미(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24]
문서
천문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태양·[[행성]]·[[위성]]·[[달]]·혜성·[[소행성]]·[[항성]]·[[성단]]·[[성운]] 등의 총칭
[125]
URL
튀코 브라헤의 혜성의 관측(Eureka 과학교실)
http://blog.naver.co[...]
[126]
문서
영국의 과학자로 [[핼리혜성]]을 관측하였다.
[127]
웹사이트
애드먼드 핼리(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28]
서적
Science : A History
[129]
서적
우주로의 여행
[130]
문서
Blair, 1990, 364.
[131]
서적
Science : A History
[132]
문서
지구 공전 궤도의 양끝에서 항성에 그은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1/2
[133]
서적
우주로의여행
[134]
문서
1500년대의 저명한 수학자로써 [[삼각함수]]의 덧셈을 이용하여 곱셈을 쉽게 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이 방식은 [[튀코]]가 매우 자주 쓰던 수학적 방법이었다.
[135]
문서
일반적으로 이체운동에서 근점 부근에서는 운동각속도가 빠르고 원점 부근에서 느린데 평균각속도를 가지고 진짜 천체와 동시에 근점을 출발하여 같은 속도로 같은 궤도를 순행하는 가상천체를 생각하고, 임의의 시각에 초점에서 본 그 방향과 진짜 천체의 방향과의 차가 중심차이다.
[136]
웹사이트
중심차의 개념(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37]
문서
달의 [[황경]]에 나타나는 태양에 의한 [[주기섭동]]중에서 가장 큰 것
[138]
웹사이트
출차의 개념(Science All 지식백과)
http://www.scienceal[...]
[139]
문서
진자가 연직방향에 대해 일정한 각도의 범위 안에서 진동하는 현상
[140]
웹사이트
칭동의 개념(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41]
문서
황도좌표계에서 황도면과 천체가 이루는 각의 거리를 의미
[142]
웹사이트
황위의 개념(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43]
문서
그리스의 천문학자이며 지리학자로 천동설을 구체화시킨 사람으로써 천문학서인 알마게스트를 만들어내었다.
[144]
웹사이트
프톨레마이우스에 대하여(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45]
문서
최초로 지동설을 주장한 과학자
[146]
문서
그리스의 천문학자로 지동설을 부인하였다
[147]
웹사이트
히파르코스에 대하여(ScienceAll 백과사전)
http://www.scienceal[...]
[148]
문서
지구에서 볼때 태양의 반대방향에 있는 위치일경우
[149]
웹사이트
충에 대하여(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50]
문서
지상에서 관찰하였을 때, 행성이 천구상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향하는 것 같이 보이는 시운동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내행성은 내합, 외행성은 충의 가까이에서 역행한다.
[151]
웹사이트
역행에 대하여(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52]
웹사이트
http://www.scienceal[...]
[153]
서적
Science : A History
[154]
웹사이트
지동설에 대하여(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55]
문서
타원 궤도의 법칙
[156]
서적
HIGHTOP 지구과학2-1
[157]
문서
면적 속도 일정의 법칙
[158]
문서
조화의법칙
[159]
서적
HIGHTOP 지구과학2-1
[160]
웹사이트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대하여(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161]
문서
갈릴레오가 종교재판 이후 딸의 도움을 받아 완성한 천문학계의 최후의 역작이다. 세 인물들을 등장시켜 전통적인 프톨레마이우스체계를 설득력있게 비판하고, 코페르니쿠스체계의 역학적 문제를 추상적,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162]
웹사이트
인물세계사 (근대물리학의 기초를 닦은 물리학자), 갈릴리오 갈릴레이
http://navercast.nav[...]
[163]
문서
1년을 주기로 일어나는 시차. 관측자가 어떤 천체를 동시에 두 지점에서 보았을 때 생기는 방향의 차를 시차라 하는데, 그림과 같이 지구 공전에 의해 1년을 주기로 시차가 생긴다. 연주시차는 배경의 거리가 아주 먼 어두운 별을 기준으로 비교적 가까운 별에서 나타난다.
[164]
웹사이트
연주시차의 정의
https://terms.naver.[...]
[165]
웹사이트
지동설의 연구(지구과학노트 블로그)
http://blog.naver.co[...]
[166]
웹사이트
튀코 브라헤의 예술적인 면모(네이트 지식)
http://ask.nate.com/[...]
[167]
문서
17세기 유럽에서 G.갈릴레이, I.뉴턴 등에 의한 고전역학의 확립과 그에 따른 자연상·세계상의 변혁
[168]
웹사이트
과학혁명의 의미(영문 위키피디아)
http://100.naver.com[...]
[169]
웹사이트
튀코브라헤의 날
http://www.rundeta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